▶ 샤일로 세퍼트(Shiloh Shepherd) / 71~76cm/54~72kg/미국
이 견종은 훈련 습득 능력이 좋고 부드러운 성격을 가진 견종으로 맹도견에 잘 어울리는 견종이다.
개량의 목적이 '유순한 타입의 저먼 세퍼트'를 만드는게 목적이었으므로, 성격 테스트를 해서 내성적이지 않고 공격적이지 않은 개체만을 등록한다.
저먼 세퍼트처럼 빠르지는 않지만 가족이 위험에 쳐하면 과감히 싸우는 견종이며,세계애견연맹(FCI) 에는 등록되지 않은 견종인데, 두번째에 소개할 킹 세퍼트보다 약간 더 큰 견종이라 할수있다.
크기는 저먼 세퍼트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저먼 세퍼트 보다 큰 체구를 가지고 있다.
샤일로 세퍼트는 알래스카 말라뮤트와 저먼 셰퍼드 등 다양한 종류의 견종들의 교잡으로 만들어진 견종이라고 할수 있으며, 저먼 세퍼트와 비슷하게 영리한편에 속하는 견종인지라, 경찰견, 수색 구조 활동, 맹도견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견종이기도 하다.
▶ 킹 세퍼트(King Shepherd) / 69 – 81cm/41~68kg/미국
이 킹 세퍼트는 앞서 소개한 샤일로 세퍼트(Shiloh Shepherd)에 기존의 저먼 세퍼트(German Shepherd) 를 교잡 시킨 견종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견종명의 '킹'이 가장 큰 저먼 세퍼트 아종의 만들다는게 아닌 신체적으로 건강한 의미의 '킹'이 견종명이 들어간게 아닐까 싶다. (킹 세퍼트도 크긴 한데 첫번째 소개한 샤일로 세퍼트가 킹 세퍼트보다 더 큼)
과거의 견종 개량의 메타(?)는 '견종이 획일화되고 하나의 견종으로 고정' 되면서 그에 따른 유전적 결함이나 다른 기타 신체적 문제를 없게하는 것이었는데, 이 킹 세퍼트 또한 그러한 메타에 따른 견종 개량의 목적이라 할수있고 이러한 경우의 대표적이고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개와 늑대를 섞어버린 사를로스 울프독이나 체코슬로바키안 울프독을 예로 들수 있겠다.
이중모인 관계로 털갈이 시즌에 지옥을 맛보게 될것이고 사실상 매일매일 빗짓을 해줘야 하는 견종이다. 저먼 세퍼트 + 샤일로 세퍼트(저먼 세퍼트+알래스카 말라뮤트+@) 이므로 운동량은 저먼 세퍼트와 비슷하게 혹은 그보다 더 활동적으로 시켜줘야 하는 견종이다. 즉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더 건강하고 더 털이 길고 더 귀엽게(?) 생긴 저먼 세퍼트라고 보면된다.
▶ 올드 저먼 세퍼트 독(Old German Shepherd Dog) / 55~65cm/22~40kg/독일
우선 이 견종을 소개 하기전에 간단히 알아야 할 점이 있는데, 저먼 세퍼트(German Shepherd)의 아종으로 소개하기는 하나 현재의 저먼 세퍼트보다는 더 원조격인 개들이라고 생각하면 될것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견종인 저먼 세퍼트는 독일에서 1차 세계대전때 군견의 용도로 독일 전역에 있는 신체능력이 뛰어난 양몰이개(Shepherd) 들을 모아 하나의 견종으로 만든것이 이 저먼 세퍼트이고 사실상 현재는 견종명만 German Shepherd로 직역하자면 '독일 양몰이개' 일뿐 양을 모는 견종이 아니라 경찰견,군견등 다방면에 쓰이는 만능견임.
즉 이런말을 하는 이유는 저먼 세퍼트 개발 당시에 쓰여졌던 독일의 진또배기 양몰이개들이 바로 올드 저먼 세퍼트 독(Old German Shepherd Dog)이라 할수있고, 저먼 세퍼트의 개량 성공이후 1차 세계대전 때 독일의 군견으로 쓰였던 저먼 세퍼트가 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여러나라에 퍼지게 되면서 2차 세계대전의 군견을 거의 모든 비율을 차지할만큼 엄청난 성공(?)을 한 견종이라 현재는 저먼 세퍼트와 이 올드 저먼 세퍼트 독은 다른 견종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싶다는게 나의 뇌피셜임.
목적인 양몰이에 초점을 맞춘 견종이라 독일 시골 농장이 주무대였으며 가축을 보호하는 경비견 역할도 하기도 했다고 한다. 현재의 저먼 세퍼트처럼 외모를 획일화 시켜 애견협회에 등록하는 개가 아니므로 현재의 저먼 세퍼트처럼 외형이 통일되어 있지는 않고 현재의 저먼 세퍼트보다는 건강한 개라고 할수있다. 다만 저먼 세퍼트의 조상뻘 되는 견종이라 비슷하게 생기긴 했는데 일부 사람들은 긴털을 가진 장모 독일 세퍼트로 분류하기도 한다. 사실 현재는 이 올드 저먼 세퍼트 독 그 자체의 진위 여부가 논란이 많아 여러 사람들의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