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유튜브 (준비중)
 

견종(犬種)

인간과 가까운 동물인 만큼 미용,훈련에 대한 정보와 지식들은 많이 알려져 있는데, 개의 종류인 견종 더 정확히는 잘 알려지지 않은 매니악한 견종들에 대한 정보는 찾아보기 힘들어, 저도 비록 잘 알지는 못하지만 미약하게나마 정보를 공유하고 여러 사람과 토론도 하는 견종 정보 교환의 ...

www.youtube.com

  • 페이지 (사진,영상)
 

보안 확인 필요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안녕하세요! 견종입니다. 이번 소개 견종은 달마티안입니다! 많은분들이 "달마시안" 으로 알고 계시지만 사실은 "달마티달마티안 (Dalmatian)" 입니다. 근데 저는 달마시안이 더 입에 촥촥 달라 붙어서 달마시안이라 부르겠어요ㅎㅎ.

FCI(세계애견연맹)에 의하면 구 유고슬라비아 현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지방이 원산지인 견종으로, 키48~58cm 체중 23~25kg 정도의 대형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1890년대에 달마티안 애호가 클럽이 개설되었고, 1882년 영국의 도스교에서 달마티안의 스탠다드(견종표준)이 공식적으로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달마시안은 옛날부터 존재했던 포인터의 후손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그 조상인 포인터와 같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 왔습니다.

※사실 포인터는 엽견(사냥개) 사이에서 그중에서 조렵견(새사냥에 이용되는 개) 사이에서는 너무나도 유명하고 전설적인 견종입니다.

경비견, 군견, 건독(총 사냥에 쓰이는 사냥개),추적견, 회수견, 사냥견 등등 여러방면에서 이용된 견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소방서의 마스코트로 활용되기도 했는데, 지금처럼 차를 이용해 불을 끄는것이 아닌 과거에는 물을 싣고있는 마차를 이용해 불을 끄곤 했습니다. 그 마차와 소방관을 안내하거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호위견으로 쓰이면서 소방서의 마스코트가 달마티안 이기도 하였습니다.

그 이외에도 달마티안은 과거 유럽에 성행하였던 마차를 습격하는 노상강도를 막는 용도로 마차호위견으로 활약하게 되면서 널리 이름을 떨치게 되었습니다. 달마티안은 견종 고유의 유전병으로 난청이 있는데 그 비율은 견종 중 가장 높은편에 속합니다. 대략 10~12% 의 달마시안이 난청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시의 달마티안은 마차 호위를 하면서 마차가 산속등을 지날때 '칼'을 든 노상강도들을 막는 일을 했던 견종이므로 우리가 알고 있는 101마리 달마시안의 그런 순한 이미지와는 정반대의 상남자 견종이었습니다. 그래서 제목을 디즈니가 이미지 세탁해준 달마시안이라고 지어버렸네요 ㅎㅎ

난청이 아닌 달마티안의 경우에도 일반 견종의 70%에 해당하는 청각만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달마티안 협회에서는 생후 6개월이 되면 난청 테스트를 실시하여 완전 난청인 강아지는 중성화 수술을 시켜 번식을 못하게 하기도 합니다. 

 

달마티안 중 갈색 눈의 달마티안보다 푸른색의 달마티안이 난청일 확률이 높다고 하는데, 그로인해 일부 번식 협회에서는 파란 눈을 가진 달마티안을 번식에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달마티안은 스탠다드(견종표준)은 자리 잡았지만 유전적 결합을 없애기 위해 이렇게 치료 번식을 여전히 하고 있는 견종힙니다.

 

 

과거 달마티안은 난청 말고도 고요산혈증(혈액 중에 요산이라는 성분이 과도하게 많아 신장결석, 방광 결석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이라는 병에 아주 취약하였습니다. 다른 견종과는 달리 요산 분해 요소가 유전자에 존재하지 않는 견종이라 과거의 달마티안은 순종 달마티안 끼리 교배했을 경우 무조건 고요산혈증에 걸리고 마는 그러한 견종이었습니다.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

달마티안과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를 교배시켜 고요산혈증을 없앨 목적으로 시작한 이른바 '달마티안 포인터 역 교배 프로젝트(Dalmatian-Pointer Backcross Project)' 가 1973년 달마티안 애호가인 'Robert Schaible' 에 의해 시작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던 로버트는 이 달마티안 포인터(Dalmatian Pointer)교잡종을 달마티안 순종으로 등록 시킬수 있도록 AKC(미국애견협회)에 요청했지만 미국달마티안 협회에서 크게 반대하게 되면서 고요산혈증 문제를 해결한 하이브리드 독 (달마티안 포인터)의 등록은 무산이 되고맙니다.

그 이후 2006년 5월 미국달마티안협회에서 이러한 역교배 문제에 대하여 논의를 하여 6월에 투표를 하였고 그 결과 2011년 ACK(미국애견협회)는 달마티안 포인터의 하이브리드독의 등록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이후 '달마티안 번식 프로젝트' 라고 하여 달마티안을 키우는 사람들의 '번식 가이드 라인' 비슷한 것을 공지하였습니다.

 

달마티안은 '101 마리의 달마티안' 이라는 만화로 큰 인기를 끈 견종인데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깊고 놀기를 좋아하고 호기심이 왕성한 견종입니다. 몸 자체가 근육질인 견종이라 가만히 있는 것을 싫어하며 지칠 줄 모르는 체력을 가진 견종이기도 합니다. 머리도 좋은 편이라 (포인터도 그렇지만) 훈련 습득력이 빠르고 주인이 가르쳐주는 것을 적극적으로 열심히 하는 견종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